오라클 교육 1일차 -- OFA (Optimal Flexible Architecture)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및 다른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식 OS 및 디스크 서브 시스템 기능을 활용하여 확장되는 고성능 데이터베이스를 최대한 유연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구성을 구현 -- OFA 용도 장치 병목 현상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디스크에 대량의 복잡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구성 데이터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백업과 같은 일상적인 관리 업무 간소화 여러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간의 효율적 전환 데이터베이스 확장의 적절한 관리 데이터 딕셔너리에 있는 사용 가능 영역의 단편화 제거, 다른 단편화 분리 및 리소스 경합 최소화
Oracle 10g 오라클의 버전 뒤에 붙는 g, i 는 그 시대의 트랜드를 나타낸다. 8i, 9i ==> internet 10g, 11g ==> grid 현재 트렌드를 그리드로 보고 있다. ASM: Automatic Storage Management (자동 저장 영역 관리 ) 모든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배하고 저장영역 그리드를 생성 및 유지 관리하며, 최소 관리 비용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입출력(I/O) 처리 능력을 제공 디스크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면 ASM은 데이터를자동으로 재분배 RAC (Real Application Clusters) 서버 클라스터에서 모든 응용프로그램 작업 로드를 실행하고 조정 oracle 의 병렬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트링 기술 여러개의 노드들을 병렬로 연결한다. 그 다음 들어오는 입..
PROCEDURE란 DB에서 작동하는 일종의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JAVA의 메소드와 같은.. 간단하게 정의가 되네요 ㅎㅎ;; 물론 다르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. DB에서 동작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속도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훨~씬더 빠르게 DB상에이루어 집니다. 처음에 PROCEDURE를 배우고 개발에 들어갔을때는 왠만하면 DB에 이런 PROCRDURE를 만들지 않고 왠만하면 웹에서 JAVA로 기능을 만들었습니다. 왜냐면 제 상사의 말을 따르면 형상관리가 안되기 때문에 소스관리적인 측면에서 안좋다는게 이유였죠.... 하지만 몇년이 지나고...전 수시로 DB에 PROCEDURE를 만듭니다. 왜냐면....편해서죠.. 그냥 웹에서는 호출만 하면 끝나니깐요 ㅎㅎ 그리..